이통3사 긴급구조 위치정보 품질측정 결과(이통3사 평균). 방통위 제공
소방·경찰 등 긴급구조기관에 제공되는 이동통신 3사의 위치정보가 전년 대비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통신위원회는 28일 이동통신 3사 및 휴대전화 단말기를 대상으로 한 '2024년 긴급구조 위치정보 품질측정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해 7~11월 이동통신 3사가 제공하는 긴급구조 위치정보 품질과 국내에 출시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긴급구조 위치정보 제공 기능에 대해 평가했다. 이동통신 3사의 긴급구조 위치정보 품질 측정은 기지국과 위성항법시스템(GPS), 근거리 무선망별로 위치기준 충족률과 위치정확도, 위치응답시간 등을 측정했다. 도시, 지형, 실내·외 등 다양한 환경을 반영해 전국 163개 지점에서 실시됐다.
품질측정 결과, 기지국 방식은 위치정확도가 52.3m에서 25m로, 응답시간은 3초에서 1.4초로 개선됐다. 와이파이 방식은 위치기준 충족률이 96.8%에서 98.9%, 정확도는 20.1m에서 18.7m, 응답시간은 4.2에서 2.4초로 모두 향상됐다. GPS 방식은 2023년 대비 위치기준 충족률이 97.7%에서 99%로, 위치응답시간도 4.6초에서 1.7초로 개선됐지만, 위치정확도는 11.3m에서 12.7m로 다소 낮아진 것으로 확인됐다.
통신사별로는 SKT가 GPS와 와이파이 방식의 위치기준 충족률에서 각각 99.8%, 99.5%로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위치정확도는 기지국 방식에서 KT가 22.3m, GPS와 와이파이 방식에서는 SKT가 8.6m, 14.5m로 가장 우수했다. 응답시간은 KT가 모든 방식에서 가장 빨랐다.
휴대전화 단말기의 긴급구조 위치정보 제공기능 측정은 외국산 단말기, 자급제 단말기, 유심 이동 단말기 등 총 85종에 대해 긴급구조 요청 시 기지국과 GPS, 와이파이별로 위치정보를 제공하는지 살폈다.
측정 결과 애플·샤오미 등 외산 단말기는 전년과 동일하게 기지국 위치정보를 제공하고 있지만, 와이파이 위치정보는 통신3사 측위 기능이 탑재돼 있지 않아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됐다. 샤오미 단말은 GPS 경우 KT망을 이용하는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상황에서만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확인돼 전년 대비 개선됐다.
애플 단말기는 긴급통화 중이거나 긴급통화 종료 후 5분까지 GPS, 와이파이 정보 등을 활용해 자체적으로 계산한 위치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영규 방송통신이용자정책국장은 "각종 긴급구조 상황에서 국민 생명과 신체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위치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긴급구조기관과 이동통신 3사, 단말기 제조사 등과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김나인기자 silkni@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