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산청·의성 임시대피소 가 보니
“다 죽겠는데 그제야 재난문자 보내”
대피 장소 등 설명도 부족해 울화통
“다시 불 붙었을 때 대피할 자신 없어”
주민 대부분 고령… 이동 쉽지 않아
불안감에 소화 불량 등 건강도 악화
軍장병들 잔분 진압 작전 - 27일 경북 의성군 단촌면 방하리 산불 현장에서 50사단과 2신속대응사단 장병 240여명이 산불 진화 지원작전에 나서고 있다. 장병들은 전문적인 화재 진압이 불가능해 잔불 제거 임무를 수행한다. 의성 연합뉴스
“시뻘건 불이 넘어와 다 죽겠는데 그제야 대피문자 보내면 뭐하는교?”
27일 오후 경북 안동시 안동체육관 앞. 전날 마을을 덮친 의성발 산불을 피해 임시대피소로 온 안동시 일직면 주민 조순기(71)씨가 울분 섞인 목소리로 말했다. 그는 지난 26일 집 앞까지 들이닥친 집채만 한 화마에 겨우 몸만 빠져나왔다고 했다.
“대피하기 전까지만 해도 동네에 불이 날 거라고는 생각도 못 했다”는 조씨가 ‘대피 긴급 재난 문자’를 받은 건 전날 오후 5시 34분쯤이다. 온 마을 주민이 혼비백산 대피를 시작했다고 했다. 그는 “순식간에 상황이 심각해지면서 하늘 위로 불덩이가 날아가는 것이 보였다”며 “온 동네 사람들이 동시에 차를 끌고 대피하다 보니 길은 막히고 마음은 급해지기만 했다”고 말했다.
어디로 어떻게 대피해야 한다고 설명해 준 이는 하나도 없었다. 길을 가다 만난 한 남성이 ‘일단 빨리 여길 벗어나야 한다’고 소리친 게 전부다. 조씨는 조금이라도 늦었다가는 길에서 허망하게 죽었을 수도 있었겠구나 하는 생각에 지금도 놀란 가슴을 쓸어내린다.
대피소로 온 이후에도 주민들의 답답한 마음은 이어지고 있다. 청송군 청송국민체육센터에서 만난 안모(54)씨는 “지난 25일 이곳으로 왔을 때 아무런 준비도 안 돼 있었고 관계자들도 발만 동동 구르고 있었다”며 “평소 재난 대비를 어떻게 하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주민들의 피로·불안감도 극에 달하고 있다. 언제 집으로 돌아갈 수 있을지 걱정에 밤을 지새워 수면 부족에 건강이 나빠지는 악순환이 반복하고 있다.
101세 시어머니를 모시고 의성군 의성실내체육관으로 대피해 엿새째 머물고 있다는 배분순(73)씨는 “거동이 불편해 욕창패드를 깔고 생활해야 하는 시어머니가 며칠 동안 여기서 지내실 수 있을지 걱정”이라고 했다. 오상대(62)씨는 “첫날 대피했다가 불길이 잦아들어 집으로 돌아갔는데 어제(26일) 불이 살아나 대피소로 되돌아왔다”며 “불이 잦아들더라도 당장 집에 돌아가진 못한다. 다리가 안 좋아서 다시 불이 붙었을 때 대피할 자신이 없다”고 말했다.
경남 산청군 단성중학교 대피소에서 만난 김춘자(64)씨는 “설마 우리 마을까지 불이 올까 싶었는데 어느 순간 마을 쪽으로 연기가 확 몰려오더니 뒷산 고사리밭에 순식간에 불이 쫙 붙었다. 공무원들이 소리치고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들을 양쪽에서 부축해 데리고 나오는 등 온 마을이 난리였다”며 “섬뜩했던 그 당시 생각에 밤잠을 설친다. 소화가 잘되지 않아 약을 달고 산다”고 전했다.
대피소 선정이 체계적이지 못했다는 지적도 있다. 70대 A씨는 “처음에 산청 선비문화원으로 대피했다가 하루도 채 지나지 않아 단성중으로 옮겼다”며 “불이 확산해서 그랬다는데 처음 대피소를 정할 때부터 신중해야 한다. 나이 든 사람들이 여기저기 옮겨 다니는 게 쉽지 않다”고 한숨 쉬듯 말했다.
안동 김형엽·산청 이창언·의성 민경석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