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OA, 제4차 AI 미래가치 포럼 개최
김민기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 [KTOA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조현영 기자 = 김민기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가 27일 "에이전트 인공지능(AI), 피지컬 AI 활용에 있어 선제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가 전력, 에너지 문제"라며 "한국은 이에 대비하기 위한 정책 수립이 (글로벌에) 못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27일 서울 강남구 씨스퀘어에서 열린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 '제4차 AI 미래가치 포럼' 공개 세미나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구글 검색에 필요한 전력량이 0.3 와트인데, 챗GPT 같은 생성형 AI 검색에는 10배에 달하는 2.9 와트가 필요하다며, 이미지·영상 기반 AI는 텍스트 기반 AI보다 전력 소모량이 40~60배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미국은 AI 패권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데이터센터 전력 공급과 재정 지원에 주력하고 있고 중국도 데이터센터에 외국 자본 투자를 허용하는 등 나서고 있다.
김 교수는 "아시아태평양 지역도 인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가 글로벌 데이터센터 유치에 있어 공격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며 "대만과 싱가포르가 최근 전력 부족으로 신규 데이터센터 건설 승인을 중단한 것을 고려해 우리나라도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통신사들 또한 액침냉각 등 데이터센터 기술을 활용해 전력 부족에 대응하고, 데이터센터 의존도를 줄이는 온디바이스 기술에 집중해야 한다고 김 교수는 강조했다.
김앤장 법률사무소 방성현 변호사는 AI가 일으킬 수 있는 저작권 문제에 대한 규제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방 변호사는 "저작권자는 자신이 만든 창작물을 제대로 보호받고 싶어하는 한편, AI 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데이터를 활용할 필요가 있어 저작권 침해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전 세계적으로 저작권자를 보호할지, AI 발전을 위해 저작물 사용 가능 범위를 넓힐지를 두고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비상업적 이용에 한정해 저작권 침해 책임에서 벗어나게 하자는 의견과 상업적 이용을 가능하게 하되, 저작권자가 원하지 않는다면 자신의 저작물을 AI 학습에 사용하지 않도록 명시적인 표시를 하게 하자는 의견, 넓게 사용을 허용하자는 의견 등이 나오고 있다.
방 변호사는 "단순히 미국이나 유럽에서 취하는 정책을 한국에 그대로 가져오는 것이 아닌, 한국 시장의 특수성을 고려한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며 "한국은 유럽과 달리 네이버, 카카오, 통신 3사 등 AI 기술,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기업이 있어 당분간 저작물 사용을 넓게 허용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개인정보의 AI 활용과 관련해서도 국내에 다양한 법안이 발의되고 있다며, 적법하게 수집한 개인정보와 위치정보를 AI 성능 개선에 사용할 수 있도록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제언했다.
이어진 좌담회에서는 이성엽 포럼 의장의 진행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데이터진흥과 김수정 과장,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개인정보보호정책과 김직동 과장, 한국인공지능학회 김용대 학회장, 한국경영과학회 모정훈 학회장, SKT 이영탁 성장지원실장, KT 김훈동 AI 리드 상무, LG유플러스 김기현 AX기술그룹 연구위원, KTOA 이상학 부회장이 패널로 참여해 AI 시대 통신 산업의 미래를 위한 토론을 벌였다.
hyun0@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