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와 AI 에이전트·KT SPC 개발…상반기 상용화 목표
김훈동 KT 전략사업컨설팅부문 상무 (KT 제공)/뉴스1
(서울=뉴스1) 김정현 기자 = "KT(030200)가 만드는 '한국적 AI'는 유년 시절을 미국 시절에서 보내고 중등 교육을 이상을 한국에서 학습한 사람을 생각하면 됩니다."
KT가 마이크로소프트(MS)와 추진 중인 '한국적 인공지능(AI)'과 'KT 시큐어 퍼블릭 클라우드(SPC)' 서비스 기술 사례를 27일 선보였다.
앞서 KT는 지난 26일 MS 'AI 투어 인 서울'에서도 한국적 AI의 개념을 담은 'GPT4o기반 커스텀 모델'과 보안을 강화한 퍼블릭 클라우드 ‘KT SPC'(KT Secure Public Cloud)를 소개하는 부스를 마련한 바 있다.
김훈동 KT 전략사업컨설팅부문 상무는 "요즘 AI 트렌드는 대형 언어모델(LLM)에서 AI 에이전트로 바뀌는 추세"라며 "LLM이 할루시네이션(환각·AI 모델이 잘못 생성한 결과)이 많지만, KT와 MS가 만드는 AI 에이전트는 국내 기업들에 맞춰 제작하는 맞춤복"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KT는 상반기 상용화를 목표로 MS와 함께 GPT-4o 기반 커스텀 모델을 개발 중이다. 특히 한국인의 일상과 비즈니스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한국적 AI'를 만들기 위해 한국의 역사 및 철학, 사회 관련 방대한 데이터를 학습시키는 중이다.
올해 MS AI 투어 인 서울 행사에서도 금융권에서 사용할 수 있는 대출 심사 관련 AI 에이전트를 시연하기도 했다.
KT가 선보인 대출심사 'AI 은행원'은 한국에만 존재하는 '전세' 제도와 관련해 '버팀목 대출'을 추천했다. AI 상담원은 상담을 진행하며 상담자의 나이와 지역, 전세 보증금 규모와 세대주 여부 등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기록하며 필요한 상품을 자연스럽게 추천했다.
김 상무는 "일반적으로 개별 기업이 성능이 높은 AI 에이전트를 개발하려면 비용이 굉장히 많이 들 수 있는데, 이를 KT와 MS에서 투자해 베이스를 만들어 고객사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성권 KT클라우드 리드 상무 (KT 제공)/뉴스1
KT는 데이터 주권과 보안 강화 특화 클라우드 서비스 'KT SPC'도 소개했다.
KT SPC는 KT가 마이크로소프트와의 전략적 협력을 통해 공동 출시한 '한국적 소버린 클라우드'다. '소버린 클라우드'는 데이터 주권을 지키면서 활용할 수 있는 퍼블릭 클라우드를 말한다.
강성권 KT클라우드 리드 상무는 "기업이나 기관에서 퍼블릭 클라우드를 활용하는 걸 주저하는 부분이 있는데, 가장 큰 요인은 공유형 자원인 퍼블릭 클라우드의 데이터 유출 우려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강 상무는 "KT는 현재 MS와 협력해 퍼블릭 클라우드의 장점을 누리면서도 자기가 생성한 데이터의 완벽한 통제권을 갖고, 보안상의 우려를 없앨 수 있도록 기능을 강화한 퍼블릭 클라우드를 만들고 있다"고 강조했다.
KT 측은 KT SPC의 특징으로 △국내 지역 사용 강제 △국내 규제 준수를 위한 랜딩존 클라우드 환경 △하드웨어 기반 메모리 암호화를 통한 데이터 통제 권한 부여 △클라우드 운영자의 자원 직접 접근 차단 등 4가지를 들었다.
강 상무는 "현재 KT 사내 시스템을 KT SPC에 올리는 작업을 진행 중"이라며 "보완 작업이 완료되는 2분기 말 정도에 정식으로 서비스를 국내 시장에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Kris@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