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뉴스]1세트 빼앗겨도 문제 없다, 김우진-임시현 인도 넘어 결승 진출! 동반 2관왕 보인다[SS파리in]
온카뱅크관리자
조회:
68
2024-08-02 22:49:00
양궁 국가대표 김우진(오른쪽)과 임시현이 2일(한국 시간) 프랑스 파리 레쟁발리드에서 열린 2024 파리올림픽 양궁 혼성 단체전 대만의 레이 젠잉-다이 여우쉬안 조와의 16강전에서 슛오프 끝에 5대4로 승리한 뒤 하이파이브를 나누고 있다. 2024. 8. 2. 파리 | 박진업 기자 upandup@sportsseoul.com
양궁 국가대표 김우진(오른쪽)과 임시현이 2일(한국 시간) 프랑스 파리 레쟁발리드에서 열린 2024 파리올림픽 양궁 혼성 단체전 대만의 레이 젠잉-다이 여우쉬안 조와의 16강전을 시작하면서 양창훈 감독과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김우진-임시현 조는 슛오프 끝에 5대4로 승리해 8강에 진출했다. 2024. 8. 2. 파리 | 박진업 기자 upandup@sportsseoul.com
양궁 국가대표 김우진(오른쪽)과 임시현이 2일(한국 시간) 프랑스 파리 레쟁발리드에서 열린 2024 파리올림픽 양궁 혼성 단체전 대만의 레이 젠잉-다이 여우쉬안 조와의 16강전에서 화살을 쏘고 있다. 김우진-임시현 조는 슛오프 끝에 5대4로 승리해 8강에 진출했다. 2024. 8. 2. 파리 | 박진업 기자 upandup@sportsseoul.com
양궁 국가대표 김우진(왼쪽)과 임시현이 2일(한국 시간) 프랑스 파리 레쟁발리드에서 열린 2024 파리올림픽 양궁 혼성 단체전 대만의 레이 젠잉-다이 여우쉬안 조와의 16강전에서 슛오프 끝에 5대4로 승리한 뒤 관중석을 향해 인사를 하고 있다. 2024. 8. 2. 파리 | 박진업 기자 upandup@sportsseoul.com
[스포츠서울 | 파리=정다워 기자] 김우진(청주시청)과 임시현(한체대)이 혼성 단체전 결승에 올랐다.
김우진과 임시현은 2일 프랑스 파리의 레쟁발리드에서 열린 2024 파리올림픽 양궁 혼성 단체전 8강에서 디라즈 봄마데바라, 안키타 바카트(인도)에 세트 점수 6-2(36-38 38-35 38-37 39-38) 승리하며 결승에 진출했다.
한국은 16강에서 대만과 슛오프 접전 끝에 승리했다. 8강에서는 이탈리아를 가볍게 넘었다.
16강, 8강과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임시현이 1세트 첫 발을 쐈다. 8점으로 시작했다. 김우진이 9점을 기록했다. 인도는 바카트가 9점, 봄마데바라가 10점을 기록했다. 두 번째 발을 쏜 임시현의 기록은 10점이었다. 김우진은 9점을 기록했다. 1세트 총점은 36점. 인도는 바카트가 9점, 봄마데바라가 10점을 기록했다. 36-38 한국의 패배였다.
첫 세트를 내준 한국은 임시현이 2세트 10점으로 분위기를 전환했다. 김우진도 10점으로 흐름을 이어갔다. 인도의 바카트는 8점을 쐈다. 봄마데바라는 9점을 기록했다. 이미 3점 차로 벌어진 가운데 임시현과 김우진은 두 번째 활을 9점에 넣었다. 총점 38점으로 일찌감치 승리를 확정했다.
세트 점수 동점을 만든 후 3세트에 돌입했다. 먼저 사로에 선 임시현이 9점으로 세트를 시작했다. 김우진이 10점에 넣었다. 인도의 두 선수는 나란히 9점을 기록했다. 임시현의 두 번째 활은 9점에 들어갔지만 김우진이 10점으로 38점을 만들었다. 인도는 바카트가 9점, 봄마데바라가 8점을 쏴 36점을 기록했다. 세트 종료 후 바카트가 쏜 9점으로 10점으로 정정됐지만 승자 변화는 없었다. 한국이 역전했다.
4세트엔 인도의 바카트가 먼저 사로에 섰다. 첫 발은 9점에 들어갔다. 봄마데바라도 같은 점수를 쐈다. 임시현은 10점을 기록했다. 김우진도 적중했다. 이미 2점 차로 벌어졌다. 바카트의 두 번째 활은 10점에 들어갔다. 봄마데바라도 10점을 기록해 38점으로 세트를 마쳤다. 임시현의 두 번째 발은 9점에 들어갔다. 김우진이 10점을 쏴 39점으로 승리해 경기를 마무리했다.
두 선수는 앞선 열린 남녀 단체전에서 나란히 금메달을 차지했다. 혼성전에서 우승할 경우 동반 2관왕에 오르게 된다. 오상욱(펜싱 사브르)에 이어 새로운 2관왕이 탄생할 수 있다.
더불어 한국은 혼성전 2회 연속 우승에도 도전한다. 3년 전 도쿄 대회에서 신설된 혼성전에서 당시 김제덕과 안산이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번엔 김우진과 임시현이 챔피언 등극을 노린다. weo@sportsseou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