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초소형 군집위성 1호가 24일 오전 7시32분(한국시간) 뉴질랜드 미히야 발사장에서 미국 로켓랩의 발사체 '일렉트론'에 실려 발사됐다. 연합뉴스 제공
초소형 군집위성 1호를 탑재한 미국 우주랩의 일렉트론 발사체 상단 과기정통부 제공
한반도 정밀 감시를 위해 국내 독자 개발한 초소형 군집위성 1호가 우주를 향해 발사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4일 오전 7시 32분(한국시간) 뉴질랜드 미히야 발사장에서 초소형 군집위성 1호기가 미국 우주기업인 로켓랩의 '일렉트론' 발사체에 실려 발사됐다고 밝혔다.
일렉트론은 당초 오전 7시8분57초에 발사될 예정이었으나, 다른 우주비행체와 충돌 위험으로 발사 시간이 오전 7시 14분 56초로 미뤄졌다.
이후 발사 카운트다운 12분을 남기도 지상 시스템 문제 해결을 위해 발사가 멈췄지만, 로켓랩 측에서 문제를 해결해 다시 카운트다운을 재개해 발사했다.
초소형 군집위성 1호는 발사 50분 뒤에 로켓과 최종 분리되고, 발사 4시간 24분 후 대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지상국과 초기 교신을 하게 된다.
초소형 군집위성은 한반도와 주변 해역을 고빈도로 정밀 감시하고, 국가 안보 및 재난·재해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2020년부터 8년간 2200억원을 투입해 11기가 개발된다. 이번에 발사하는 초소형 군집위성 1호는 시제기로, 이후 2026년과 2027년에 각각 5기를 추가 발사해 총 11기가 군집 운영된다. 11기 위성이 군집으로 운영되면 매일 3회 이상 한반도 지역의 촬영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로켓랩은 이번 임무에 BTS(Beginning of The Swarm, 군집의 시작)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준기기자 bongchu@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주 일요일 밤 0시에 랭킹을 초기화합니다.